호랑이는 마음 속으로 다짐했지. ho-rang-i-neun ma-eum so-geu-ro da-jim-haet-jji (тигр в душе поклялся;
그때 방 안에서 심한 기침 소리가 들려왔어. «혹시 어머니가 편찮으신가?»
호랑이는 방에서 나는 소리에 바짝 귀를 기울였지.
«어머니, 병이 나으시려면 산삼을 드셔야 한다는데······.»
«한겨울에 어디서 산삼을 구할 수 있겠니?»
어머니의 기침 소리에 호랑이는 가슴이 아팠어. «어머니 병이 나을 수 있게 산삼을 구해 드려야겠어.»
호랑이는 마음 속으로 다짐했지.
호랑이는 어머니가 주신 갓을 쓰고 옷을 입었어. ho-rang-i-neun eo-meo-ni-ga ju-sin ga-seul sseu-go (тигр подаренный матушкой
그리고 어머니께 드릴 산삼을 구하려고 온 산을 헤매고 다녔단다. geu-ri-go eo-meo-ni-kke deu-ril san-sa-meul kku-ha-ryeo-go on sa-neul he-mae-go da-nyeot-ttan-da (потом в поисках женьшеня, что матушке преподнесёт, стал по горам блуждать;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자지도 못하고 산삼을 찾아다녔어. je-dae-ro meok-jji-do mo-ta-go (ни поесть толком не мог;
눈이 오는 날에도, 비가 오는 날에도 쉬지 않고 말이야. nu-ni o-neun na-re-do (и в снежные дни: «в дни когда шёл снег»;
그러면서도 날마다 총각의 집에 산짐승을 갖다 주는 일을 잊지 않았어. geu-reo-myeon-seo-do (в то же время) nal-ma-da chong-ga-gui ji-be san-jim-seung-eul gat-tta ju-neun i-reul it-jji a-na-sseo (каждый день в дом к парню еду приносить не забывал;
호랑이는 어머니가 주신 갓을 쓰고 옷을 입었어.
그리고 어머니께 드릴 산삼을 구하려고 온 산을 헤매고 다녔단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자지도 못하고 산삼을 찾아다녔어.
눈이 오는 날에도, 비가 오는 날에도 쉬지 않고 말이야.
그러면서도 날마다 총각의 집에 산짐승을 갖다 주는 일을 잊지 않았어.
하얀 눈이 온 세상을 뒤덮은 어느 날 아침이었어. ha-yan nu-ni on se-sang-eul ttwi-deo-peun eo-neu nal a-chi-mi-eo-sseo (было утро одного дня, когда белый снег весь мир накрыл;
방문을 열고 밖을 내다보던 총각은 깜짝 놀랐지. bang-mu-neul yeol-go (дверь открыв;
«어머니, 저게 뭐죠? eo-meo-ni, jeo-ge mwo-jyo (матушка, это что)?»
마당에 커다란 눈 무덤이 생긴 거야. ma-dang-e keo-da-ran nun mu-deo-mi saeng-gin geo-ya (во дворе большой снежный сугроб: «могила» появился;
총각은 조심조심 눈을 치우다가 눈이 휘둥그레졌어. chong-ga-geun jo-sim-jo-sim nu-neul chi-u-da-ga (пока парень осторожно снег разгрёбал;
눈 무덤 속에는 산삼을 품에 꼭 안은 호랑이가 쓰러져 있었지. nun mu-deom so-ge-neun (в снежной могиле) san-sa-meul pu-me kkok a-neun ho-rang-i-ga sseu-reo-jeo i-sseot-jji (женьшень крепко к груди прижавший тигр /упав/ лежал;
총각과 어머니는 호랑이의 지극한 효성에 감동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단다. chong-gak-kkwa eo-meo-ni-neun ho-rang-i-ui ji-geu-kan hyo-seong-e gam-dong-hae-seo (парень с матерью, исключительной преданностью тигра проникнувшись;
하얀 눈이 온 세상을 뒤덮은 어느 날 아침이었어.
방문을 열고 밖을 내다보던 총각은 깜짝 놀랐지.
«어머니, 저게 뭐죠?»
마당에 커다란 눈 무덤이 생긴 거야.
총각은 조심조심 눈을 치우다가 눈이 휘둥그레졌어.
눈 무덤 속에는 산삼을 품에 꼭 안은 호랑이가 쓰러져 있었지.
총각과 어머니는 호랑이의 지극한 효성에 감동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단다.
들쥐와 손톱
(deul-jjwi-wa son-top)
Мышка и ногти
옛날 옛적에 한 선비가 있었어. yen-nal yet-jjeo-ge han seon-bi-ga i-sseo-sseo (давным-давно жил-был учёный;
선비는 집을 떠나 깊은 산속의 절에서 글공부를 했지. seon-bi-neun ji-beul tteo-na (учёный, оставив дом;
절에 있는 스님은 선비를 잘 보살펴 주었어. jeo-re in-neun seu-ni-meun seon-bi-reul jjal ppo-sal-pyeo ju-eo-sseo (тамошний: «там находившийся» монах об учёном хорошо заботился;
그래서 선비는 글공부에만 힘을 쏟으며 지냈단다. geu-rae-seo seon-bi-neun geul-kkong-bu-e-man hi-meul sso-deu-myeo (поэтому учёный, только на учёбу силы направляя;
옛날 옛적에 한 선비가 있었어.
선비는 집을 떠나 깊은 산속의 절에서 글공부를 했지.
절에 있는 스님은 선비를 잘 보살펴 주었어.
그래서 선비는 글공부에만 힘을 쏟으며 지냈단다.
어느 날 선비는 손톱을 깎아서 문지방 너머 툇마루에 무심코 버렸어. eo-neu nal (однажды) sseon-bi-neun son-to-beul kka-kka-seo (учёный ногти постригал и;
그랬더니 어디선가 들쥐 한 마리가 쪼르르 달려 나와서 그 손톱을 날름 먹어 치우는 거야. geu-raet-tteo-ni (глядь) eo-di-seon-ga deul-jjwi han ma-ri-ga jjo-reu-reu dal-lyeo na-wa-seo (откуда ни возьмись мышь /одна/, /лапками/ семеня, прибежала;
«어, 들쥐가 손톱을 다 먹네! eo, deul-jjwi-ga son-to-beul tta meong-ne (гляди-ка, мышь все ногти съела)!»
선비는 그 모습이 재미있어서 손톱을 깎을 때마다 툇마루에 내놓았어. seon-bi-neun geu mo-seu-bi jae-mi-i-sseo-seo (учёного это зрелище позабавило: «интересным было» и) son-to-beul kka-kkeul ttae-ma-da (каждый раз, когда ногти стриг;
그러면 어김없이 들쥐가 쪼르르 날려와서 손톱을 먹어 치웠지. geu-reo-myeon eo-gi-meop-ssi deul-jjwi-ga jjo-reu-reu nal-lyeo-wa-seo (тогда неизменно мышка прибегала и;
어느 날 선비는 손톱을 깎아서 문지방 너머 툇마루에 무심코 버렸어.
그랬더니 어디선가 들쥐 한 마리가 쪼르르 달려 나와서 그 손톱을 날름 먹어 치우는 거야.
«어, 들쥐가 손톱을 다 먹네!»
선비는 그 모습이 재미있어서 손톱을 깎을 때마다 툇마루에 내놓았어.
그러면 어김없이 들쥐가 쪼르르 날려와서 손톱을 먹어 치웠지.
어느덧 세월이 흘러 삼 년이 지났어. eo-neu-deot (долго ли, коротко ли) se-wo-ri heul-leo (время пролетело;
선비는 여전히 손톱을 깎아서 툇마루에 내놓았지만 들쥐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어. seon-bi-neun yeo-jeon-hi son-to-beul kka-kka-seo toen-ma-ru-e nae-no-at-jji-man (учёный по-прежнему ногти стриг да на веранду бросал хотя) deul-jjwi-neun deo i-sang na-ta-na-ji a-na-sseo (мышь больше не появлялась;
드디어 글공부를 마친 선비는 스님에게 인사를 하고 절을 떠나 집으로 향했지. deu-di-eo geul-kkong-bu-reul ma-chin seon-bi-neun (наконец обучение закончивший учёный;
어느덧 세월이 흘러 삼 년이 지났어.
선비는 여전히 손톱을 깎아서 툇마루에 내놓았지만 들쥐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어.
드디어 글공부를 마친 선비는 스님에게 인사를 하고 절을 떠나 집으로 향했지.
집에 돌아온 선비는 기가 탁 막혔어. ji-be do-ra-on seon-bi-neun (домой вернувшийся учёный) gi-ga tak ma-kyeo-sseo (крайне изумился: «выражение лица сковалось»;
글쎄, 저하고 똑같이 생긴 사람이 제 집에서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 거야! geul-sse (вот это да), jeo-ha-go ttok-kka-chi saeng-gin sa-ra-mi (на меня как две капли воды похожий человек;
«아니, 도대체 너는 누구이기에 우리 집에서 내 행세를 하고 있느냐? a-ni (нет), do-dae-che neo-neun nu-gu-i-gi-e (ты вообще кто такой;
«너야말로 무슨 심보로 남의 집에서 행패를 부리는 거냐? neo-ya-mal-lo (да это ты) mu-seun sim-bo-ro (кто такой: «кем прикидываешься»;
가짜는 도리어 제가 진짜라고 우겨 댔지. ga-jja-neun do-ri-eo (фальшивый /хозяин/ наоборот;
집에 돌아온 선비는 기가 탁 막혔어.
글쎄, 저하고 똑같이 생긴 사람이 제 집에서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 거야!
«아니, 도대체 너는 누구이기에 우리 집에서 내 행세를 하고 있느냐?»
«너야말로 무슨 심보로 남의 집에서 행패를 부리는 거냐?»
가짜는 도리어 제가 진짜라고 우겨 댔지.
진짜 선비와 가짜 선비가 서로 자기가 진짜라며 옥신각신하니 이를 어쩌나? jin-jja seon-bi-wa ga-jja seon-bi-ga seo-ro (настоящий учёный и лжеучёный друг с другом) ja-gi-ga jin-jja-ra-myeo (я, мол, сам и есть настоящий;
이 소동에 집안 식구들이 다 모여들었고, 온 동네 사람들까지 다 모여들었어. i so-dong-e ji-ban sik-kku-deu-ri da mo-yeo-deu-reot-kko (на этот шум все их домашние слетелись;
그렇지만 아무도 선뜻 진짜를 가려내지 못했지. geu-reo-chi-man (однако) a-mu-do seon-tteut jin-jja-reul kka-ryeo-nae-ji mo-taet-jji (никто сходу настоящего определить не смог;
그 많은 사람들이 암만 요모조모 뜯어봐도 둘의 모습이 너무나 똑같아 보였어. geu ma-neun sa-ram-deu-ri am-man yo-mo-jo-mo tteu-deo-bwa-do (этот люд: «эти многие люди» как ни присматривался, тот или этот;
누가 진짜이고 누가 가짜인지 도무지 모르겠거든. nu-ga jin-jja-i-go (кто настоящий) nu-ga ga-jja-in-ji (кто поддельный) do-mu-ji mo-reu-get-kkeo-deun (совершенно не понятно;
진짜 선비와 가짜 선비가 서로 자기가 진짜라며 옥신각신하니 이를 어쩌나?
이 소동에 집안 식구들이 다 모여들었고, 온 동네 사람들까지 다 모여들었어.
그렇지만 아무도 선뜻 진짜를 가려내지 못했지.
그 많은 사람들이 암만 요모조모 뜯어봐도 둘의 모습이 너무나 똑같아 보였어.
누가 진짜이고 누가 가짜인지 도무지 모르겠거든.
집안 식구들은 이 둘을 관가로 데리고 가서 원님에게 누가 진짜인지 가려 달라고 했어. ji-ban sik-kku-deu-reun i du-reul kkwan-ga-ro de-ri-go ga-seo (домочадцы их обоих к уездному начальнику отвели: «ведя, пошли»;
그런데 원님이 봐도 둘이 너무 똑같아서 도대체 누가 진짜인지 알 수가 있어야지. geu-reon-de won-ni-mi bwa-do (но уездный начальник как ни глядел: «хоть и посмотрел») du-ri neo-mu ttok-kka-ta-seo (они оба так похожи, что) do-dae-che nu-ga jin-jja-in-ji al ssu-ga i-sseo-ya-ji (никак не мог понять, кто настоящий).
원님은 생각 끝에 집 안에 있는 물건들의 수를 물어보았어. won-ni-meun saeng-gak kkeu-te (уездный начальник подумал-подумал и;
«자, 집 안에 밥그릇이 모두 몇 개 있느냐? ja (ну), jip a-ne bap-kkeu-reu-si mo-du myeot kkae in-neu-nya (у вас в доме мисок для риса всего сколько штук есть;
진짜 선비는 눈앞이 캄캄했어. jin-jja seon-bi-neun nu-na-pi kam-kam-hae-sseo (у настоящего учёного в глазах потемнело;
집을 떠나 삼 년 동안이나 절에서 글공부만 했으니 집에 어떤 물건이 얼마나 있는지 전혀 알 수가 없었지. ji-beul tteo-na sam nyeon dong-a-ni-na (он же из дома уж как три года ушёл) jeo-re-seo geul-kkong-bu-man hae-sseu-ni (в монастыре наукой занимался поскольку) ji-be eo-tteon mul-geo-ni eol-ma-na in-neun-ji jeon-hyeo al ssu-ga eop-sseot-jji (откуда ж ему знать, сколько и чего у него в доме есть;
집안 식구들은 이 둘을 관가로 데리고 가서 원님에게 누가 진짜인지 가려 달라고 했어.
그런데 원님이 봐도 둘이 너무 똑같아서 도대체 누가 진짜인지 알 수가 있어야지.
원님은 생각 끝에 집 안에 있는 물건들의 수를 물어보았어.
«자, 집 안에 밥그릇이 모두 몇 개 있느냐? 또 수저는 모두 몇 벌이나 있느냐?»
진짜 선비는 눈앞이 캄캄했어.
집을 떠나 삼 년 동안이나 절에서 글공부만 했으니 집에 어떤 물건이 얼마나 있는지 전혀 알 수가 없었지.
가짜 선비는 집 안에 있는 물건들을 훤히 다 알고 있었어. ga-jja seon-bi-neun jip a-ne in-neun mul-geon-deu-reul hwon-hi da al-kko i-sseo-sseo (фальшивый учёный, сколько и чего есть в доме, прекрасно знал;
가짜 선비는 머뭇거림 없이 척척 대답했어. ga-jja seon-bi-neun meo-mut-kkeo-rim eop-ssi (лжеучёный без колебаний;
사람을 시켜 세어 봤더니 모두 꼭 맞는 거야. sa-ra-meul ssi-kyeo se-eo bwat-tteo-ni (когда людей посчитать отправили: «человека заставили посчитать попробовать когда»;
가짜 선비는 집 안에 있는 물건들을 훤히 다 알고 있었어. «예, 밥그릇은 스무 개이고, 수저는 모두 스물 다섯 벌입니다.»
가짜 선비는 머뭇거림 없이 척척 대답했어.
사람을 시켜 세어 봤더니 모두 꼭 맞는 거야. 이렇게 해서 가짜 선비는 진짜가 되고, 진짜 선비는 가짜로 몰려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지.
쫓겨난 선비는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다가, 예전에 글공부했던 절을 다시 찾아갔어. jjot-kkyeo-nan seon-bi-neun i-got-jjeo-go-seul tteo-do-ra-da-ni-da-ga (изгнанный учёный пока туда-сюда ходил-бродил;
그러고는 스님에게 그동안 겪은 일들을 다 말했지. geu-reo-go-neun seu-ni-me-ge (вот монаху) geu-dong-an gyeo-kkeun il-deu-reul (между тем что с ним приключилось: «вещи, которые испытал»;
«혹시 손톱을 깎아서 짐승에게 먹인 적이 있는가? hok-ssi son-to-beul kka-kka-seo (может, ты ногти стриг и) jim-seung-e-ge meo-gin (какому зверю их скормил;
«예, 글공부를 하다가 손톱을 깎아 놓으면 들쥐가 쪼르르 달려 나와서 집어 먹었지요. ye (да), geul-kkong-bu-reul ha-da-ga (во время учёбы) son-to-beul kka-kka no-eu-myeon (когда я ногти стриг и вытряхивал) deul-jjwi-ga jjo-reu-reu dal-lyeo na-wa-seo (мышь прибегала) ji-beo meo-geot-jji-yo (подбирала их и ела;
«그 들쥐가 손톱을 먹고 자네 모습으로 둔갑을 한 거로군. geu deul-jjwi-ga son-to-beul meok-kko (эта мышь, ногти съев) ja-ne mo-seu-beu-ro dun-ga-beul han geo-ro-gun (в тебя: «в твой образ» превратилась;
«그럼 이제 저는 어찌하면 좋습니까? geu-reom i-je jeo-neun eo-jji-ha-myeon jo-sseum-ni-kka (и что же мне теперь делать: «если как сделать, хорошо будет»)?»
«내가 고양이를 줄 테니 가서 그 가짜 앞에 풀어놓게. nae-ga go-yang-i-reul jjul te-ni (я тебе кошку дам /поскольку/;
쫓겨난 선비는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다가, 예전에 글공부했던 절을 다시 찾아갔어.
그러고는 스님에게 그동안 겪은 일들을 다 말했지.
«혹시 손톱을 깎아서 짐승에게 먹인 적이 있는가?»
«예, 글공부를 하다가 손톱을 깎아 놓으면 들쥐가 쪼르르 달려 나와서 집어 먹었지요.»
«그 들쥐가 손톱을 먹고 자네 모습으로 둔갑을 한 거로군.»
«그럼 이제 저는 어찌하면 좋습니까?»
«내가 고양이를 줄 테니 가서 그 가짜 앞에 풀어놓게. 그러면 모든 일이 잘 해결될 걸세.»
선비는 고양이를 데리고 집으로 갔어. seon-bi-neun go-yang-i-reul tte-ri-go (учёный, кошку взяв) ji-beu-ro ga-sseo (домой пошёл).
집에서는 여전히 가짜가 진짜 노릇을 하고 있었지. ji-be-seo-neun yeo-jeon-hi ga-jja-ga jin-jja no-reu-seul ha-go i-sseot-jji (а дома по-прежнему обманщик настоящим учёным притворялся: «роль исполнял»).
뒷짐을 지고 헛기침을 하면서 집 안을 돌아다니고, 식구들과 하인들에게 호령을 하고 다녔어. dwit-jji-meul jji-go (руки в боки: «за спиной сцепив»;
이때 진짜 선비가 대문을 열고 척 들어서자, 가짜 선비는 두 눈을 부릅뜨고 펄펄 뛰었지. i-ttae jin-jja seon-bi-ga dae-mu-neul yeol-go (в это время настоящий учёный, ворота открыв;
«아니, 저놈이 또 나타났구나! a-ni (это ещё что: «нет»), jeo-no-mi tto na-ta-nat-kku-na (опять этот бродяжка нарисовался;
선비는 고양이를 데리고 집으로 갔어.
집에서는 여전히 가짜가 진짜 노릇을 하고 있었지.
뒷짐을 지고 헛기침을 하면서 집 안을 돌아다니고, 식구들과 하인들에게 호령을 하고 다녔어.
이때 진짜 선비가 대문을 열고 척 들어서자, 가짜 선비는 두 눈을 부릅뜨고 펄펄 뛰었지.
«아니, 저놈이 또 나타났구나! 여봐라, 저놈을 흠씬 두들겨 패서 쫓아내거라!»
이때 진짜 선비가 품속에서 고양이를 턱 꺼내 놓았어. i-ttae jin-jja seon-bi-ga pum-so-ge-seo go-yang-i-reul teok kkeo-nae no-a-sseo (в этот момент настоящий учёный из рук: «объятий» кошку вдруг выпустил).
그러자 고양이를 본 가짜 선비는 꽁무니가 빠져라 도망가지 시작했지. geu-reo-ja go-yang-i-reul ppon ga-jja seon-bi-neun (тогда кошку увидевший лжеучёный) kkong-mu-ni-ga ppa-jeo-ra (наутёк: «на задницу падая»;
한참을 도망가던 가짜 선비는 돌에 걸려 땅에 푹 엎어졌어. han-cha-meul tto-mang-ga-deon ga-jja seon-bi-neun (вот несётся он: «некоторое время бежавший лжеучёный») do-re geol-lyeo (об камень споткнулся;
그런데 엎어지자마자 찍찍하는 소리와 함께 들쥐로 변해 버렸지. geu-reon-de eo-peo-ji-ja-ma-ja (а упав) jjik-jji-ka-neun so-ri-wa ham-kke (с писком;
조그만 들쥐는 멀리멀리 도망갔어. jo-geu-man deul-jjwi-neun meol-li-meol-li do-mang-ga-sseo (маленькая мышка далеко-далеко убежала;
이때 진짜 선비가 품속에서 고양이를 턱 꺼내 놓았어.
그러자 고양이를 본 가짜 선비는 꽁무니가 빠져라 도망가지 시작했지.
한참을 도망가던 가짜 선비는 돌에 걸려 땅에 푹 엎어졌어.
그런데 엎어지자마자 찍찍하는 소리와 함께 들쥐로 변해 버렸지.
조그만 들쥐는 멀리멀리 도망갔어.
이 모습을 지켜보던 사람들은 그제야 모든 것을 알게 되었어. i mo-seu-beul jji-kyeo-bo-deon sa-ram-deu-reun (за этим зрелищем наблюдавшие люди;
가짜를 진짜로 알고 집 안에 들여놓고, 진짜는 가짜로 몰아 내쫓았으니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일이야? ga-jja-reul jjin-jja-ro al-kko (лжеца за настоящего приняв) jip a-ne deu-ryeo-no-ko (в дом пустить;
그때부터 선비는 손톱을 깎으면 아무 데나 버리지 않고 반드시 잘 모아서 깨끗이 불태워 버렸어. geu-ttae-bu-teo seon-bi-neun son-to-beul kka-kkeu-myeon (с тех пор учёный, когда ногти стриг;
선비뿐만 아니라 다른 식구들도 모두 그렇게 했지. seon-bi-ppun-man a-ni-ra (и не только учёный) da-reun sik-kku-deul-tto mo-du geu-reo-ke haet-jji (но и все другие домочадцы так делали;
그 뒤로는 두 번 다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단다. geu dwi-ro-neun du beon da-si geu-reon i-ri i-reo-na-ji a-nat-ttan-da (и говорят, что после этого больше: «во второй раз» такого не случалось;
이 모습을 지켜보던 사람들은 그제야 모든 것을 알게 되었어.
가짜를 진짜로 알고 집 안에 들여놓고, 진짜는 가짜로 몰아 내쫓았으니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일이야? 그때부터 선비는 손톱을 깎으면 아무 데나 버리지 않고 반드시 잘 모아서 깨끗이 불태워 버렸어.
선비뿐만 아니라 다른 식구들도 모두 그렇게 했지.
그 뒤로는 두 번 다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단다.
우렁이 각시
(u-reong-i gak-ssi5)
Жена из ракушки
옛날에 한 젊은이가 살았어. yen-na-re han jeol-meu-ni-ga sa-ra-sseo (давным-давно жил-был один парень;
그 젊은이의 집은 마을에서 뚝 떨어진 외딴 곳에 있었어. geu jeol-meu-ni-ui ji-beun ma-eu-re-seo ttuk tteo-reo-jin oe-ttan go-se i-sseo-sseo (дом этого парня в /несколько/ отдалённом от деревни, пустынном месте был;
젊은이는 작은 집에서 혼자 살았지. jeol-meu-ni-neun ja-geun ji-be-seo hon-ja sa-rat-jji (парень в маленьком домике один жил;
그 집에는 모든 게 하나뿐이었어. geu ji-be-neun mo-deun ge ha-na-ppu-ni-eo-sseo (в этом доме всего по одной штуке было;
방도 하나, 베개도 하나, 수저도 하나, 밥그릇도 하나였어. bang-do ha-na (и комната одна), be-gae-do ha-na (и подушка одна), su-jeo-do ha-na (и один набор ложки с палочками), bap-kkeu-reut-tto ha-na-yeo-sseo (и миска для риса тоже одна была).
옛날에 한 젊은이가 살았어.
그 젊은이의 집은 마을에서 뚝 떨어진 외딴 곳에 있었어.
젊은이는 작은 집에서 혼자 살았지.
그 집에는 모든 게 하나뿐이었어.
방도 하나, 베개도 하나, 수저도 하나, 밥그릇도 하나였어.
어느 날 젊은이는 밭일을 하다가, 잠시 쉬려고 나무 그늘 밑에 기대어 앉았어. eo-neu nal jjeol-meu-ni-neun ba-chi-reul ha-da-ga (однажды парень, в поле работая;
그리고 넓은 보리밭을 바라보았어. geu-ri-go neop-eun bo-ri-ba-teul ppa-ra-bo-a-sseo (потом на широкое ячменное поле поглядел;
«후유······ hu-yu (фу)… 저 밭을 일구어서 누구랑 먹고 살지? jeo ba-teul il-gu-eo-seo (это поле вспашу;
젊은이는 쓸쓸히 혼자 중얼거렸어. jeol-meu-ni-neun sseul-sseul-hi hon-ja jung-eol-geo-ryeo-sseo (парень сам с собой бурчал;
«나랑 먹고 살지. na-rang meok-kko sal-jji (со мной будешь есть).»
어디선가 낯선 목소리가 들리는 거야. eo-di-seon-ga nat-sseon mok-sso-ri-ga deul-li-neun geo-ya (откуда-то незнакомый голос раздался;
젊은이는 깜짝 놀라 벌떡 일어나 앉았어. jeol-meu-ni-neun kkam-jjak nol-la (парень удивился и) beol-tteok i-reo-na an-ja-sseo (как на пружине подскочил: «приподнялся и сел» = от удивления аж подскочил;
그런데 주위에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단다. geu-reon-de ju-wi-e-neun a-mu-do bo-i-ji a-nat-ttan-da (но поблизости никого видно не было;
어느 날 젊은이는 밭일을 하다가, 잠시 쉬려고 나무 그늘 밑에 기대어 앉았어.
그리고 넓은 보리밭을 바라보았어.
«후유······. 저 밭을 일구어서 누구랑 먹고 살지?»
젊은이는 쓸쓸히 혼자 중얼거렸어. «나랑 먹고 살지.»
어디선가 낯선 목소리가 들리는 거야.
젊은이는 깜짝 놀라 벌떡 일어나 앉았어.
그런데 주위에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단다.
«저 밭을 일구어서 누구랑 먹고 살지? jeo ba-teul il-gu-eo-seo nu-gu-rang meok-kko sal-jji (это поле вспашу, а с кем /ячмень/ есть буду)?»
젊은이는 다시 한 번 중얼거려 보았어. jeol-meu-ni-neun da-si han beon jung-eol-geo-ryeo bo-a-sseo (парень ещё раз тихонько сказать попробовал).
«나랑 먹고 살지. na-rang meok-kko sal-jji (со мной есть будеш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