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청개구리는 엄마를 어디에 묻어야 할지 걱정스러웠어요.
«엄마가 개울가에 묻어 달라고 했는데······.»
아들 청개구리는 고개를 갸우뚱하며 생각에 잠겼습니다.
«산에 묻어야 떠내려가지 않을 텐데, 어쩌지?»
아들 청개구리는 산과 개울을 번갈아 쳐다보았어요.
«엄마가 남긴 마지막 말이라도 그대로 따라야 해!
그래야 엄마도 하늘나라에서 기뻐하실 거야.»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를 개울가 바로 옆에 묻었어요. a-deul cheong-gae-gu-ri-neun eom-ma-reul kkae-ul-ga ba-ro yeo-pe mu-deo-sseo-yo (лягушонок маму у речного берега похоронил;
«엄마 말을 잘 들었어야 했는데, 개굴개굴······. eom-ma ma-reul jjal tteu-reo-sseo-ya haen-neun-de (как мама наказала, так я и сделал), gae-gul-gae-gul (ква-ква)…»
아들 청개구리의 눈에서 눈물이 줄줄 흘렀습니다. a-deul cheong-gae-gu-ri-ui nu-ne-seo nun-mu-ri jul-jul heul-leot-sseum-ni-da (из глаз лягушонка слёзы градом катились;
«개굴개굴······. gae-gul-gae-gul (ква-ква)…»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를 개울가 바로 옆에 묻었어요.
«엄마 말을 잘 들었어야 했는데, 개굴개굴······.»
아들 청개구리의 눈에서 눈물이 줄줄 흘렀습니다.
«개굴개굴······.»
부슬부슬 내리던 비가 좍좍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bu-seul-ppu-seul nae-ri-deon bi-ga jwak-jjwak sso-da-ji-gi si-ja-kaet-sseum-ni-da (начался сильный ливень: «начавшийся дождь низвергаться начал»;
«개울물이 불어 엄마 무덤이 떠내려가면 어쩌지? gae-ul-mu-ri bu-reo (если река разольётся;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 무덤가로 뛰어갔어요. a-deul cheong-gae-gu-ri-neun eom-ma mu-deom-ga-ro ttwi-eo-ga-sseo-yo (лягушонок к маминой могиле бросился: «поскакал»;
«개굴개굴! gae-gul-gae-gul (ква-ква)! 어, 우리 엄마 무덤이 떠내려가겠네! eo, u-ri eom-ma mu-deo-mi tteo-nae-ryeo-ga-gen-ne (ох, могилу моей мамочки уносит)!»
아들 청개구리는 발을 동동 굴렀습니다. a-deul cheong-gae-gu-ri-neun ba-reul ttong-dong gul-leot-sseum-ni-da (лягушонок затопал лапками;
요즘도 비만 내리면 아들 청개구리는 목놓아 운답니다. yo-jeum-do bi-man nae-ri-myeon (и по сей день, когда сильный дождь идёт;
«개굴개굴 개굴개굴······. gae-gul-gae-gul gae-gul-gae-gul (ква-ква, ква-ква)…»
부슬부슬 내리던 비가 좍좍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개울물이 불어 엄마 무덤이 떠내려가면 어쩌지?»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 무덤가로 뛰어갔어요.
«개굴개굴! 어, 우리 엄마 무덤이 떠내려가겠네!»
아들 청개구리는 발을 동동 굴렀습니다.
요즘도 비만 내리면 아들 청개구리는 목놓아 운답니다.
«개굴개굴 개굴개굴······.»
효성스러운 호랑이
(hyo-seong-seu-reo-un ho-rang-i4)
Почтительный тигр
옛날옛날 어느 깊은 산골에 가난한 총각이 홀어머니를 모시며 살고 있었어. yen-na-ryen-nal eo-neu gi-peun san-go-re (давным-давно в глухой: «глубокой» деревушке) ga-nan-han chong-ga-gi ho-reo-meo-ni-reul mo-si-myeo sal-kko i-sseo-sseo (бедный холостяк с матерью: «о матери заботясь» жил;
총각은 산에서 나무를 해다 팔아서 어머니와 함께 겨우겨우 먹고 살았지. chong-ga-geun sa-ne-seo na-mu-reul hae-da pa-ra-seo (парень в горах прутья да ветки собирал и торговал ими;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 geu-reo-deon eo-neu na-ri-eo-sseo (однажды: «такой один день был»).
총각은 여느 때와 다름없이 나무를 하러 집을 나섰어. chong-ga-geun yeo-neu ttae-wa da-reu-meop-ssi na-mu-reul ha-reo ji-beul na-seo-sseo (парень как обычно за сучьями из дома вышел;
«잘 다녀오거라. jal tta-nyeo-o-geo-ra (счастливо тебе: «хорошо сходить»;
«예, 어머니. ye, eo-meo-ni (да, мама = счастливо). 추운데 어서 들어가세요. chu-un-de (холодно /ведь/;
어머니는 아들의 모습이 사라질 때까지 손을 흔들었지. eo-meo-ni-neun a-deu-rui mo-seu-bi sa-ra-jil ttae-kka-ji (мать, пока сын из виду не пропал: «сына облик /не/ исчез пока /до того времени/»;
옛날옛날 어느 깊은 산골에 가난한 총각이 홀어머니를 모시며 살고 있었어.
총각은 산에서 나무를 해다 팔아서 어머니와 함께 겨우겨우 먹고 살았지.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
총각은 여느 때와 다름없이 나무를 하러 집을 나섰어.
«잘 다녀오거라.»
«예, 어머니. 추운데 어서 들어가세요.»
어머니는 아들의 모습이 사라질 때까지 손을 흔들었지.
총각은 하루 종일 열심히 나무를 하고, 지친 걸음으로 터덜터덜 산을 내려오고 있었어. chong-ga-geun ha-ru jong-il yeol-sim-hi na-mu-reul ha-go (парень, целый день без передышки прутья прособирав;
그런데 갑자기 커다란 호랑이 한 마리가 입을 딱 벌리고 달려드는 거야. geu-reon-de gap-jja-gi keo-da-ran ho-rang-i han ma-ri-ga i-beul ttak beol-li-go (но вдруг огромный тигр, пасть широко распахнув;
«어흥! eo-heung (р-р-р;
심장은 쿵덕쿵덕, 다리는 후들후들. sim-jang-eun kung-deok-kung-deok (сердце заколотилось;
총각은 눈앞이 아찔하고 정신이 하나도 없었지. chong-ga-geun nu-na-pi a-jjil-ha-go (у парня в глазах зарябило;
«정신만 똑바로 차리면 살 수 있어. jeong-sin-man ttok-ppa-ro cha-ri-myeon (если присутствие духа сохраню;
총각은 애써 마음을 가다듬으며, 요리조리 살아날 꾀를 생각해 보았지. chong-ga-geun ae-sseo ma-eu-meul kka-da-deu-meu-myeo (парень постарался взять себя в руки;
총각은 하루 종일 열심히 나무를 하고, 지친 걸음으로 터덜터덜 산을 내려오고 있었어.
그런데 갑자기 커다란 호랑이 한 마리가 입을 딱 벌리고 달려드는 거야.
«어흥! 배고픈 참에 잘 만났다.»
심장은 쿵덕쿵덕, 다리는 후들후들.
총각은 눈앞이 아찔하고 정신이 하나도 없었지.
«정신만 똑바로 차리면 살 수 있어.»
총각은 애써 마음을 가다듬으며, 요리조리 살아날 꾀를 생각해 보았지.
«아이고, 형님! a-i-go, hyeong-nim (ай-ай-ай, братец;
총각은 호랑이 앞에 넙죽 엎드려 절을 했어. chong-ga-geun ho-rang-i a-pe neop-jjuk eop-tteu-ryeo (парень перед тигром на колени шлёпнулся;
총각의 갑작스런 모습에 호랑이는 어리둥절한 표정이 되었지. chong-ga-gui gap-jjak-sseu-reon mo-seu-be (от такого неожиданного поведения парня;
«어흥! eo-heung (р-р-р)! 내가 어찌 너의 형님이냐? nae-ga eo-jji neo-ui hyeong-ni-mi-nya (какой я тебе братец;
총각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했어. chong-ga-geun nun-mu-reul heul-li-myeon-seo mal-hae-sseo (парень со слезами на глазах: «слёзы проливая» говорит).
«아이고, 형님. a-i-go, hyeong-nim (ай-ай-ай, братец). 제가 어찌 형님을 몰라보겠습니까? je-ga eo-jji hyeong-ni-meul mol-la-bo-get-sseum-ni-kka (как же мне собственного брата не узнать;
«아이고, 형님! 이제야 만났군요.»
총각은 호랑이 앞에 넙죽 엎드려 절을 했어.
총각의 갑작스런 모습에 호랑이는 어리둥절한 표정이 되었지.
«어흥! 내가 어찌 너의 형님이냐?»
총각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했어.
«아이고, 형님. 제가 어찌 형님을 몰라보겠습니까? 삼 년 전에 돌아가시면서 호랑이로 다시 태어날 테니 그동안 어머니를 잘 모시라고 간곡히 부탁하셨잖아요?»
총각의 말에 호랑이는 고개를 갸우뚱거렸어. chong-ga-gui ma-re ho-rang-i-neun go-gae-reul kkya-u-ttung-geo-ryeo-sseo (на слова парня тигр закивал головой;
«그동안 몰랐었는데······ 내가 사람의 아들이었구나. geu-dong-an mol-la-sseon-neun-de (до этого ведь я и не знал)… nae-ga sa-ra-mui a-deu-ri-eot-kku-na (что я же человечий сын;
호랑이는 헛기침을 하며 점잖게 물었어. ho-rang-i-neun heot-kki-chi-meul ha-myeo (тигр, покашливая;
«으흥, 그래. eu-heung, geu-rae (ах, вот как). 어머니는 잘 지내고 계시냐? eo-meo-ni-neun jal jji-nae-go gye-si-nya (матушка-то жива-здорова;
총각은 옳거니 싶어 더 큰 소리로 말했지. chong-ga-geun ol-keo-ni si-peo deo keun so-ri-ro mal-haet-jji (парень для пущей убедительности ещё громче: «более громким голосом» заговорил;
«어머니께서는 돌아가신 형님이 보고 싶어 밤낮으로 눈물을 흘리고 계십니다. eo-meo-ni-kke-seo-neun do-ra-ga-sin hyeong-ni-mi bo-go si-peo (матушка, погибшего брата увидеть желая) bam-na-jeu-ro nun-mu-reul heul-li-go gye-sim-ni-da (днём и ночью слёзы льёт;
호랑이는 훌쩍훌쩍 눈물을 훔치더니, 총각을 덥석 끌어안았어. ho-rang-i-neun hul-jjeo-kul-jjeok nun-mu-reul hum-chi-deo-ni (тигр, шмыгая носом и слёзы вытирая;
«아이고, 아우야! a-i-go, a-u-ya (ай-ай-ай, братец;
총각의 말에 호랑이는 고개를 갸우뚱거렸어.
«그동안 몰랐었는데······ 내가 사람의 아들이었구나.»
호랑이는 헛기침을 하며 점잖게 물었어.
«으흥, 그래. 어머니는 잘 지내고 계시냐?»
총각은 옳거니 싶어 더 큰 소리로 말했지.
«어머니께서는 돌아가신 형님이 보고 싶어 밤낮으로 눈물을 흘리고 계십니다.»
호랑이는 훌쩍훌쩍 눈물을 훔치더니, 총각을 덥석 끌어안았어.
«아이고, 아우야! 아이고, 어머니!»
«내 등에 타거라. nae deung-e ta-geo-ra (садись ко мне на спину;
좀 무섭기는 했지만, 총각은 호랑이 등에 훌쩍 올라탔어. jom mu-seop-kki-neun haet-jji-man (хоть и боязливо), chong-ga-geun ho-rang-i deung-e hul-jjeok ol-la-ta-sseo (парень к тигру на спину забрался;
호랑이는 날쌔게 고개를 넘어, 총각을 집에 데려다 주었어. ho-rang-i-neun nal-ssae-ge go-gae-reul neo-meo (тигр, быстро горные перевалы преодолевая;
«고맙습니다, 형님. go-map-sseum-ni-da, hyeong-nim (спасибо, братец;
«그래, 잘 가거라, 아우야. geu-rae, jal kka-geo-ra, a-u-ya (ну, бывай: «хорошо иди», братец).»
무사히 집에 도착한 총각은 쏜살같이 방 안으로 들어갔어. mu-sa-hi ji-be do-cha-kan chong-ga-geun (благополучно до дома добравшийся парень;
«우휴, 꼼짝없이 죽는 줄 알았네. u-hyu (ох), kkom-jja-geop-ssi jung-neun jul a-ran-ne (думал, не уйти мне живым: «считал себя мертвецом»;
총각은 어머니께 호랑이 이야기를 들려 드렸지. chong-ga-geun eo-meo-ni-kke ho-rang-i i-ya-gi-reul tteul-lyeo deu-ryeot-jji (парень матери о тигре /историю/ рассказал;
«정말, 다행이구나. jeong-mal, da-haeng-i-gu-na (вот счастье-то: «действительно, повезло»;
어머니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어. eo-meo-ni-do an-do-ui han-su-meul nae-swi-eo-sseo (мать тоже облегчённо вздохнула;
«내 등에 타거라. 이 형이 집까지 데려다 주마.»
좀 무섭기는 했지만, 총각은 호랑이 등에 훌쩍 올라탔어.
호랑이는 날쌔게 고개를 넘어, 총각을 집에 데려다 주었어.
«고맙습니다, 형님.»
«그래, 잘 가거라, 아우야.»
무사히 집에 도착한 총각은 쏜살같이 방 안으로 들어갔어.
«우휴, 꼼짝없이 죽는 줄 알았네.»
총각은 어머니께 호랑이 이야기를 들려 드렸지.
«정말, 다행이구나. 큰일이 날 뻔했지 뭐냐, 어휴.»
어머니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어.
다음 날 아침, 마당에 나온 총각은 깜짝 놀랐어. da-eum nal a-chim (на следующее утро;
«이게 어찌 된 일이지? i-ge eo-jji doen i-ri-ji (это что такое)?»
마당 한가운데 멧돼지가 놓여 있었거든. ma-dang han-ga-un-de met-ttwae-ji-ga no-yeo i-sseot-kkeo-deun (посреди двора кабан лежит;
«어머니, 이것 좀 보세요. eo-meo-ni, i-geot jom bo-se-yo (матушка, гляди-ка).»
총각이 곰곰이 생각해 보니 어제 만난 호랑이가 한 일이 분명했어. chong-ga-gi gom-go-mi saeng-ga-kae bo-ni (парень подумал-подумал: «хорошенько поразмышлять попробовал»;
«호랑이가 정말 어머니께 효도를 하는구나. ho-rang-i-ga jeong-mal eo-meo-ni-kke hyo-do-reul ha-neun-gu-na (тигр и вправду матушке уважение выказывает;
총각은 어머니께 맛있는 고기 반찬을 해 드렸지. chong-ga-geun eo-meo-ni-kke ma-sin-neun go-gi ban-cha-neul hae deu-ryeot-jji (парень матушку вкусным мясом накормил;
다음 날 아침, 마당에 나온 총각은 깜짝 놀랐어.
«이게 어찌 된 일이지?»
마당 한가운데 멧돼지가 놓여 있었거든.
«어머니, 이것 좀 보세요.»
총각이 곰곰이 생각해 보니 어제 만난 호랑이가 한 일이 분명했어.
«호랑이가 정말 어머니께 효도를 하는구나.»
총각은 어머니께 맛있는 고기 반찬을 해 드렸지.
그 다음 날, 또 그 다음 날도 총각은 깜짝 놀랐어. geu da-eum nal (и на следующий день), tto geu da-eum nal-tto (и на следующий тоже;
호랑이는 총각의 집에 노루를 가져다 놓기도 하고, 산토끼를 가져다 놓기도 했어. ho-rang-i-neun chong-ga-gui ji-be no-ru-reul kka-jeo-da no-ki-do ha-go (тигр к дому парня то косулю принесёт да положит;
«참 효성스러운 호랑이구나! cham hyo-seong-seu-reo-un ho-rang-i-gu-na (вот уж и вправду тигр матушку чтит)!»
늙은 어머니도 호랑이의 마음에 감동했어. neul-geun eo-meo-ni-do ho-rang-i-ui ma-eu-me gam-dong-hae-sseo (старушка-мать тоже поступками: «нравом» тигра восхитилась;
«정말 형님인 것 같아요. jeong-mal hyeong-ni-min geot ga-ta-yo (точь-в-точь как старший брат;
총각은 호랑이의 효성스러운 마음을 생각하며 더욱 정성껏 어머니를 모셨어. chong-ga-geun ho-rang-i-ui hyo-seong-seu-reo-un ma-eu-meul saeng-ga-ka-myeo (парень, вдохновлённый поступками почтительного тигра: «о характере преданного тигра размышляя») deo-uk jeong-seong-kkeot eo-meo-ni-reul mo-syeo-sseo (ещё с большей заботой стал к матери относиться;
그 다음 날, 또 그 다음 날도 총각은 깜짝 놀랐어.
호랑이는 총각의 집에 노루를 가져다 놓기도 하고, 산토끼를 가져다 놓기도 했어.
«참 효성스러운 호랑이구나!»
늙은 어머니도 호랑이의 마음에 감동했어.
«정말 형님인 것 같아요.»
총각은 호랑이의 효성스러운 마음을 생각하며 더욱 정성껏 어머니를 모셨어.
총각은 호랑이가 준 동물 가죽을 장에 내다 팔았어. chong-ga-geun ho-rang-i-ga jun dong-mul ga-ju-geul jjang-e nae-da pa-ra-sseo (парень тигром принесённых животных шкуры на рынок принёс продавать = парень отправился на базар продавать шкуры животных, что тигр принёс;
«자, 여기 질기고 튼튼한 멧돼지 가죽이 있어요! ja (вот, нате), yeo-gi jil-gi-go teun-teun-han met-ttwae-ji ga-ju-gi i-sseo-yo (у /меня/ тут крепкая и прочная кабанья кожа /есть/;
총각의 쩌렁쩌렁한 목소리가 장터에 울려 퍼졌어. chong-ga-gui jjeo-reong-jjeo-reong-han mok-sso-ri-ga jang-teo-e ul-lyeo peo-jeo-sseo (громкий голос парня разносился по всей рыночной площади;
«내가 사겠소. nae-ga sa-get-sso (я куплю;
«아니, 내게 파시오! a-ni (нет), nae-ge pa-si-o (мне продай)!»
장에 나온 사람들은 서로 사겠다고 아우성이었어. jang-e na-on sa-ram-deu-reun seo-ro sa-get-tta-go (пришедшие на рынок люди наперебой, что купят;
총각은 신이 나서 콧노래를 부르며 집으로 돌아왔단다. chong-ga-geun si-ni na-seo (парень в хорошем настроении) kon-no-rae-reul ppu-reu-myeo (напевая себе под нос;
총각은 호랑이가 준 동물 가죽을 장에 내다 팔았어.
«자, 여기 질기고 튼튼한 멧돼지 가죽이 있어요!»
총각의 쩌렁쩌렁한 목소리가 장터에 울려 퍼졌어.
«내가 사겠소.»
«아니, 내게 파시오!»
장에 나온 사람들은 서로 사겠다고 아우성이었어.
총각은 가죽을 팔아서 쌀도 사고 땔감도 샀지.
총각은 신이 나서 콧노래를 부르며 집으로 돌아왔단다.
«우리가 호랑이 덕분에 끼니 걱정을 잊고 사는구나. u-ri-ga ho-rang-i deok-ppu-ne (мы, благодаря тигру) kki-ni geok-jjeong-eul it-kko (о еде беспокоиться забыв;
어머니는 호랑이를 생각하며 늘 고마워했지. eo-meo-ni-neun ho-rang-i-reul ssaeng-ga-ka-myeo (мать, о тигре думая) neul kko-ma-wo-haet-jji (всегда благодарность испытывала = мать всегда вспоминала тигра с благодарностью).
«이제 곧 날이 추워질 텐데······. i-je got na-ri chu-wo-jil ten-de (скоро начнёт холодать: «теперь вскоре погода похолодает;
어머니는 커다란 천을 꺼내 호랑이의 옷을 만들기 시작했어. eo-meo-ni-neun keo-da-ran cheo-neul kkeo-nae (мать, большой кусок ткани достав;
밤새 한 땀 한 땀 정성껏 바느질을 하고, 맛있는 음식을 준비해 상도 차렸어. bam-sae han ttam han ttam jeong-seong-kkeot ba-neu-ji-reul ha-go (всю ночь шов за швом: «в поте лица» не покладая рук шила: «шитьё делала»;
총각은 호랑이가 다녀가는 이른 새벽에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상과 장터에서 사온 갓,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옷을 마당에 놓아두었단다. chong-ga-geun ho-rang-i-ga da-nyeo-ga-neun i-reun sae-byeo-ge (парень к приходу тигра на рассвете;
«우리가 호랑이 덕분에 끼니 걱정을 잊고 사는구나.»
어머니는 호랑이를 생각하며 늘 고마워했지.
«이제 곧 날이 추워질 텐데······.»
어머니는 커다란 천을 꺼내 호랑이의 옷을 만들기 시작했어.
밤새 한 땀 한 땀 정성껏 바느질을 하고, 맛있는 음식을 준비해 상도 차렸어.
총각은 호랑이가 다녀가는 이른 새벽에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상과 장터에서 사온 갓,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옷을 마당에 놓아두었단다.
이윽고 날이 밝아 왔어. i-euk-kko na-ri bal-ga wa-sseo (наконец рассвело;
밥상과 갓과 옷을 보고 호랑이는 눈물을 글썽였단다. bap-ssang-gwa gat-kkwa o-seul bo-go (кушанья и
«어머니가 나를 위해······ eo-meo-ni-ga na-reul wi-hae (матушка для меня)… 흐흑! heu-heuk (всхлип-всхлип)! 어머니! eo-meo-ni (матушка)!»
호랑이는 밥상 앞에 앉아 주룩주룩 눈물을 흘렸어. ho-rang-i-neun bap-ssang a-pe an-ja (тигр, за столик с едой присев) ju-ruk-jju-ruk nun-mu-reul heul-lyeo-sseo (стал в три ручья слёзы лить;
그러고는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옷을 품에 꼭 안았어. geu-reo-go-neun eo-meo-ni-ga man-deu-reo ju-sin o-seul pu-me kkok a-na-sseo (потом сшитую матерью рубашку к груди прижал;
이윽고 날이 밝아 왔어. 총각의 집으로 들어서던 호랑이는 갑자기 걸음을 멈추었지.
밥상과 갓과 옷을 보고 호랑이는 눈물을 글썽였단다.
«어머니가 나를 위해······ 흐흑! 어머니!»
호랑이는 밥상 앞에 앉아 주룩주룩 눈물을 흘렸어.
그러고는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옷을 품에 꼭 안았어. 어머니가 계신 방을 하염없이 바라보면서 말이야.
그때 방 안에서 심한 기침 소리가 들려왔어. geu-ttae bang a-ne-seo sim-han gi-chim so-ri-ga deul-lyeo-wa-sseo (в это время из комнаты сильный кашель послышался;
«혹시 어머니가 편찮으신가? hok-ssi eo-meo-ni-ga pyeon-cha-neu-sin-ga (неужто матушка приболела;
호랑이는 방에서 나는 소리에 바짝 귀를 기울였지. ho-rang-i-neun bang-e-seo na-neun so-ri-e ba-jjak gwi-reul gi-u-ryeot-jji (тигр к раздававшимся из комнаты звукам прислушался;
«어머니, 병이 나으시려면 산삼을 드셔야 한다는데······. eo-meo-ni (матушка), byeong-i na-eu-si-ryeo-myeon (чтобы болезнь прошла) san-sa-meul tteu-syeo-ya han-da-neun-de (женьшеня нужно покушать;
«한겨울에 어디서 산삼을 구할 수 있겠니? han-gyeo-u-re eo-di-seo san-sa-meul kku-hal ssu it-kken-ni (посреди зимы где же женьшень можно достать;
어머니의 기침 소리에 호랑이는 가슴이 아팠어. eo-meo-ni-ui gi-chim so-ri-e ho-rang-i-neun ga-seu-mi a-pa-sseo (от матушкиного кашля у тигра защемило в груди: «грудь заболела»;